고시원 화재참사로 드러난 ‘도심 속 新 판자촌’, 그들을 위한 안전한 집은 없는가 [이뉴스TV]
고시원 화재참사로 드러난 ‘도심 속 新 판자촌’, 그들을 위한 안전한 집은 없는가 [이뉴스TV]
  • 안경선 기자
  • 승인 2018.11.13 1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종로구 국일고시원 화재 참사로 인해 ‘주거 빈민층’의 거주지가 되어버린 고시원의 실상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9일 새벽, 서울 종로에 있는 국일고시원에서 전기난로 과열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났다. 이 화재로 7명이 숨지는 등 2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사망자들은 대부분 40~60대 남성으로 일용직 노동자였다. 이번 참사로 인해 고시나 수험, 취업을 준비하던 학생들의 거소로 활용되었던 고시원이 이른바 ‘현대판 판자촌’이라 불리우며 극빈층의 주거지로 변모한 실태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주거 빈민층의 열악한 생활 여건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지난 6월 도시연구소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고시원·고시텔에 거주하는 가구 수는 15만1553가구로 파악됐다. 고시원의 평균 월세는 32만8000원, 가구 평균 소득은 약 180만원으로 국내 전체가구 평균소득(371만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거주자의 중,고졸 이하 학력 비중도 32.4%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도 무려 114만 가구가 정부가 정한 최저 주거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곳에 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외환위기와 금융위기를 연달아 겪은 도심 청년층이 빈곤주거지로 밀려나고 그대로 나이가 들어 현재까지도 고시원에 사는 주요 계층을 형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은영 도시연구소 소장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외환위기 당시의 가난한 청년이 지금의 가난한 중,장년이 됐다”면서 “고시원의 폭증 시기는 지났지만 지금도 꾸준히 늘어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주요 시민단체에서는 이번 기회에 도시빈민들의 주거환경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주거복지센터협회와 주거권네트워크, 빈곤사회연대, 민주노총 등은 이날 서울 종로구 관수동의 고시원 화재 현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이들은 “여관여인숙이나 쪽방 외에도 고시원은 치솟는 집값, 월세의 만연, 부족한 공공임대주택과 소극적인 공공부조 등의 환경 속에서 저소득·빈곤 1인 가구들이 목돈 없이 거주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라며 “정부는 도시빈민들의 주거환경 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는 한편 현재 도시빈민들의 주요 주거지인 고시원에 스프링클러, 화재경보기 등 화재 예방 시설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10월 정부가 취약계층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입주를 지원하는 등의 정책 추진을 발표한 만큼 도심 속 판자촌에서 열악하게 살아가고 있는 극빈층의 주거환경 개선에 속도가 붙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